렌즈삽입술(ICL) 후 백내장이 생기면 수술이 가능할까? 시력교정술과 백내장 수술의 차이와 핵심 포인트
시력이 좋지 않아 라식이나 라섹, 스마일 라식 등 다양한 시력교정술을 고민하다가 결국 렌즈삽입술(Implantable Collamer Lens, ICL)을 권유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고도근시나 각막이 얇은 사람에게는 각막을 깎는 수술보다는 눈 속에 렌즈를 넣는 ICL 방식이 더 안전하다고 판단되기도 하죠.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고민이 생깁니다.
"나중에 백내장이 생기면 어떡하지?"
"렌즈삽입술을 받으면 백내장 수술이 어려워지는 건 아닐까?"
이 글에서는 이러한 우려를 갖고 있는 분들을 위해, 렌즈삽입술과 백내장 수술의 차이점, 그리고 렌즈삽입술 후 백내장이 생겼을 때 가능한 대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Q : 안녕하세요.
A : 렌즈삽입술(ICL)이란 무엇인가요?
렌즈삽입술은 각막을 깎지 않고, 눈 속에 콜라머 렌즈(Implantable Collamer Lens)를 삽입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수술입니다. 주로 고도근시, 난시, 또는 각막이 얇아서 라식/라섹이 불가능한 경우에 권장됩니다.
ICL 렌즈는 홍채와 수정체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기존의 수정체는 그대로 보존됩니다. 이 점이 바로 백내장 수술과의 가장 큰 차이이자 핵심입니다.
정리하자면:
- ICL은 수정체를 제거하지 않고 렌즈만 삽입
- 원래의 수정체가 눈 속에 그대로 있음
- 이로 인해 이후의 백내장 수술이 물리적으로 가능함
백내장이란 무엇인가요?
백내장은 눈 속의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현상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가 단단해지고 흐려지면서 시야가 뿌옇게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겪는 변화이며, 시력이 크게 저하되면 백내장 수술을 통해 인공수정체(IOL)를 삽입하게 됩니다.
렌즈삽입술 후 백내장이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부분이 바로 이것입니다.
"렌즈삽입술을 받으면 백내장이 생겼을 때 수술이 불가능한 게 아닐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렌즈삽입술을 받은 이후에도 백내장 수술은 가능합니다.
단,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일반적인 백내장 수술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 혼탁해진 수정체를 초음파나 레이저로 제거
- 제거된 수정체 자리에 인공수정체(IOL)를 삽입
그런데 ICL 렌즈가 이미 눈 속에 있는 상태에서는, 백내장 수술 전 ICL 렌즈를 먼저 제거해야 합니다. 이 절차는 경험 있는 안과 전문의에게는 크게 어렵지 않은 과정입니다.
렌즈삽입술과 백내장 수술의 차이점은?
구분 렌즈삽입술 (ICL) 백내장 수술
목적 | 시력 교정 (근시/난시) | 수정체 혼탁 제거 |
시기 | 주로 젊은 나이 (20~40대) | 주로 중장년층 (50대 이후) |
수정체 보존 여부 | 보존 | 제거 |
삽입 물질 | 콜라머 렌즈 (ICL) | 인공수정체 (IOL) |
백내장 수술 영향 | 수술 가능, ICL 제거 후 진행 | ICL 유무에 따라 수술 방식 약간 다름 |
가족력으로 백내장이 있다면, 렌즈삽입술을 피해야 할까?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백내장이 빨리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백내장은 유전적인 요인도 있지만, 노화, 자외선 노출, 당뇨병, 외상, 약물 복용(스테로이드 등) 등의 환경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족력만으로 렌즈삽입술을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백내장의 조짐이 있는지 체크하면서 관리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렌즈삽입술 후 백내장 수술을 어렵게 만드는 경우는?
아주 드물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수술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ICL 삽입 위치에 따라 백내장 수술 시 시야가 제한되는 경우
- 렌즈가 오래되어 안구 내 염증이나 혼탁이 발생한 경우
- 눈 속 공간이 좁아 수술 기구를 넣기 어려운 경우
이러한 특수한 상황은 일반적인 ICL 수술 후 10년 이상 지난 뒤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정기적인 안과 진료로 충분히 조기 발견 및 대응이 가능합니다.
결론: 렌즈삽입술 후 백내장이 생겨도 수술은 가능하다
정리하면, 렌즈삽입술(ICL)을 받은 이후에도 백내장 수술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다만, 백내장 수술 전 ICL 렌즈를 제거하는 과정이 추가되며, 이 작업은 숙련된 전문의에게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가족력으로 백내장을 걱정하시는 경우라도, 젊은 시기에 시력 교정을 위해 렌즈삽입술을 선택하는 것은 합리적인 선택일 수 있으며, 향후 백내장이 생기더라도 치료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전문가 TIP
- 렌즈삽입술 전, 반드시 안과에서 정밀 검사를 통해 눈의 상태를 확인하세요.
- 백내장 수술이 필요한 경우, 렌즈삽입술 경험이 있는 병원에서 수술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렌즈삽입술 후에는 매년 안과 검진을 받으며 수정체나 눈 속 환경의 변화를 체크하세요.
렌즈삽입술과 백내장 수술은 각기 다른 목적과 절차를 가진 수술입니다. 두 수술이 충돌하지 않으며, 렌즈삽입술 후에도 백내장 수술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점에서, 너무 큰 걱정 없이 전문가의 진료를 통해 현명한 결정을 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동영상도 참고해 보세요!
정말 렌즈삽입술하면 10년 후에 렌즈를 다시 빼야할까?
'눈(eye)에대한정보 > 안과QnA-실제질문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어스프레이나 화학제품이 눈에 들어갔을 때.... (1) | 2025.04.11 |
---|---|
사시수술을 받아야 할까요? (0) | 2025.03.25 |
아이가 갑자기 눈동자를 빠르게 돌리거나 오른쪽 위로 두번씩 올렸다 내렸다 합니다-틱 장애(Tic Disorder) (0) | 2025.03.16 |
눈에 갑자기 반짝반짝 빛나는 현상이 있어요-광시증 (0) | 2025.03.09 |
일상적인 행동이 안압을 올릴 수 있다? 원인, 증상, 검진 필요성 총정리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