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설치 + 월 요금 0원! 응급안심서비스 신청 꿀팁 정리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무료 설치 + 월 요금 0원! 응급안심서비스 신청 꿀팁 정리

by yeon0305 2025. 4. 20.
반응형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와 119 안심콜, 전 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

혹시 집에 홀로 계신 부모님이 걱정되신 적 있나요?
퇴근길에 갑자기 전화가 안 되거나, 고령의 가족이 있는 집에 화재 감지기 하나 없이 지내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무겁습니다.
이런 걱정을 덜어줄 정부의 응급 안전 서비스가 드디어 전 국민에게 확대 시행되었어요.

이전까지는 일부 취약계층만 이용할 수 있었지만, 2024년 3월부터는 소득과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게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1인 가구, 고령자, 만성질환자, 그리고 걱정 많은 가족들 모두에게 희소식이죠.

저도 이 제도를 부모님께 알려드리고 신청 도와드렸는데요,
막상 해보니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고, 장비도 무료로 설치해줘서 놀랐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두 가지 제도,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119 안심콜 서비스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란?

응급 안전 안심 서비스혼자 사는 어르신, 만성질환자, 장애인 등 위기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분들을 위해 개발된 응급 대응 시스템입니다.

주요 기능

  • 응급 호출기: 위급 시 버튼만 누르면 119와 가족에게 자동으로 연락
  • 화재 감지기: 연기 발생 시 자동으로 119에 신고
  • 출입문 감지기: 장시간 미귀가 감지 시 알림 전송
  • 활동량 감지기: 움직임 없을 경우 이상 상황으로 판단해 가족과 119에 자동 알림

설치 및 비용

  • 장비 설치 비용 전액 무료
  • 월 이용료 없음
  • 장비 설치 및 유지 관리 전담 사회복지사가 지원

신청 대상 및 조건 (2024년 3월부터 확대 시행)

기존에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65세 이상 독거노인 등 일부 계층만 신청 가능했으나, 2024년 3월부터 전 국민 대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지금 누구나 신청 가능!

  • 소득, 나이 무관
  • 부모님, 1인 가구, 고령자, 만성질환자 모두 가능
  •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누구든지 직접 신청 가능

👉 지원 대상 자세히 보기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 전화 문의 후 접수
  • 전담 사회복지사가 설치 및 안내 지원

👉 안심서비스 신청 바로가기

119 안심콜 서비스란?

119 안심콜 서비스는 응급 상황에서 119에 전화하면 신고자 건강정보가 자동 전송되어 보다 빠른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등록 시 전달되는 정보

  •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 정보
  • 복용 약물 및 병력
  • 보호자 연락처
  • 과거 응급상황 기록 등

119 대원이 출동 즉시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응급처치가 가능합니다.

119 안심콜 신청 방법

👉 119 안심콜 신청하기

마무리 요약

우리는 바쁜 일상 속에서 늘 가족의 안녕을 걱정하면서도 정작 어떻게 지켜야 할지 방법을 몰라 놓치는 순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적어도 긴급 상황에서만큼은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 응급 호출기, 화재 감지기, 활동량 감지기까지 모두 무료 설치
  • 월 이용료도 없음
  • 119 신고 시 건강 정보가 자동 전달, 더 빠르고 정확한 응급 대응 가능

신청은 어렵지 않습니다.
가까운 주민센터에 가거나, 온라인 신청으로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어요.
특히 부모님을 대신해 자녀가 신청해드릴 수도 있으니, 지금 바로 챙겨보세요.

가족의 안전은 예방에서 시작됩니다.
한 번의 신청으로 오랫동안 안심할 수 있는 제도,
주변에도 꼭 공유해보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