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건 하나로 가족 전염? 유행성각결막염(EKC)의 무서운 전염력과 예방법"-Feat렌즈착용자 주의사항
본문 바로가기
눈(eye)에대한정보

"수건 하나로 가족 전염? 유행성각결막염(EKC)의 무서운 전염력과 예방법"-Feat렌즈착용자 주의사항

by yeon0305 2025. 4. 25.
반응형

여름철 눈병 주의보! 유행성각결막염(EKC) 증상부터 렌즈 착용자 주의사항까지 총정리

날씨가 더워질수록 우리 눈 건강에 빨간불이 켜지는 계절이 다가옵니다.
특히 여름철이면 빠지지 않고 찾아오는 유행성각결막염(EKC)은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전염성 눈병입니다.
증상도 불편하지만 전염성이 강해 가족, 학교, 직장 등 집단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이 조심해야 하는 질환이죠.

오늘은 EKC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드림렌즈나 소프트렌즈 착용자가 특히 주의해야 할 점까지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한 모든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유행성각결막염(EKC)의 정의

유행성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은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매우 전염성이 강한 눈병입니다. 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며,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연령에 상관없이 누구나 걸릴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각막과 결막에 염증을 일으켜 눈 충혈, 이물감, 눈곱, 눈물 흘림 등의 불쾌한 증상을 유발하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줍니다.

EKC의 원인: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유행성각결막염은 주로 아데노바이러스 8형, 19형, 37형에 의해 유발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공기 중 비말, 눈을 만진 손, 수건, 렌즈, 눈 화장품 공유 등을 통해 쉽게 전염됩니다. 한쪽 눈에서 시작해 며칠 후 다른 쪽 눈까지 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의 주요 증상

  • 눈 충혈: 눈이 붉고 피로해 보임
  • 눈곱(분비물): 끈적하고 진한 눈곱이 발생
  • 이물감: 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한 느낌
  • 눈물 흘림: 평소보다 눈물이 많이 남
  • 빛 민감성(광과민증): 밝은 곳에서 눈을 뜨기 힘듦
  • 각막 혼탁: 중증일 경우 시력 저하까지 유발 가능

증상은 보통 감염 후 1~2일 내 시작되며, 최대 2주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EKC의 진단 및 치료

진단

안과에서 세극등 검사, 필요시 바이러스 항원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임상 증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방법

현재 EKC를 직접 치료하는 항바이러스제는 없습니다.
주로 대증치료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 항생제 점안제: 2차 감염(세균성 결막염) 예방
  • 항염증제(스테로이드 점안제): 심한 염증이나 각막혼탁 시 사용
  • 냉찜질인공눈물 점안: 증상 완화

주의: 스테로이드 점안제는 의사의 처방 하에 사용해야 하며, 자가진단 및 약국 구매는 위험합니다.


EKC의 전염력과 격리 기간

유행성각결막염은 발병 후 10~14일까지도 전염력이 남아 있습니다.
때문에 어린이집, 학교, 직장 등에서의 전파가 매우 빠릅니다.

격리 권장 기간

  • 증상 시작 후 최소 1주일 이상 외부 활동 자제
  • 눈병 완치 확인 시까지 공동물품 사용 금지

유행성각결막염 예방법

1. 손 위생 철저히 하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 눈을 만지기 전 반드시 손을 씻기

2. 개인 위생용품 철저히 구분

  •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절대 공유 금지
  • 렌즈용품 및 인공눈물 개인 전용 사용

3. 공공장소 주의

  • 수영장, 사우나 등에서 눈병 감염 가능성 높음
  • 손소독제 및 물티슈 휴대

자주 묻는 질문 (FAQ)

Q. EKC는 몇 번 걸릴 수 있나요?

A. 항체가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어, 다시 걸릴 수 있습니다.

Q. 인공눈물은 아무거나 써도 되나요?

A. 방부제가 없는 무방부 인공눈물 사용을 권장합니다.

Q. 렌즈 착용은 언제부터 가능하나요?

A. 완치 후 1주일 이후부터 착용을 권장합니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라면? EKC 감염 시 반드시 주의할 점

유행성각결막염과 콘택트렌즈의 위험한 조합

유행성각결막염(EKC)은 각막까지 침범할 수 있는 심각한 전염성 안질환이기 때문에,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는 더 큰 위험이 따릅니다. 특히 드림렌즈(OK렌즈) 착용자는 수면 중 각막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감염 시 중증 합병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EKC 감염 의심 시 즉시 콘택트렌즈 착용 중단!

  • 렌즈 착용 즉시 중단: 감염 시에는 눈의 자연 회복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렌즈를 빼야 합니다.
  • 렌즈와 보관 용기 폐기 또는 소독: EKC는 바이러스가 렌즈 및 렌즈케이스에 남아 있을 수 있어 재감염 위험이 큽니다.
    가능하다면 새 제품으로 교체할 것!

드림렌즈(OK렌즈) 착용자의 주의사항

  • EKC 발생 시 절대 착용 금지: 자면서 착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각막 깊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완치 후 안과 전문의의 허가 후 착용 재개: 렌즈 재처방이나 각막 상태 재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 렌즈 세척제 및 보관함은 반드시 새로 구비할 것

소프트렌즈・하드렌즈 사용자 주의사항

  • 증상이 없더라도 주변 가족에게 전염됐을 경우, 렌즈 착용은 최소한으로 제한
  • 증상이 의심되면 렌즈 보관함, 핀셋, 손 소독 등 철저히 위생 관리 필요
  • 감염 후 회복되었더라도 각막 혼탁이 남을 수 있어, 시력 교정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음

콘택트렌즈 사용자의 회복 후 관리 팁

  • 회복 후 1~2주간 렌즈 비착용 권장
  • 인공눈물은 무방부제 제품 사용
  • 시력 변화 또는 빛 번짐, 흐림이 지속되면 반드시 안과 재진

EKC와 콘택트렌즈 관련 FAQ

Q. EKC 걸렸는데, 드림렌즈 계속 껴도 되나요?

A. 절대 금지입니다. 각막 손상 위험이 매우 크며, 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Q. 감염 후 기존 콘택트렌즈 다시 사용해도 되나요?

A. 안 됩니다. 렌즈 및 케이스에 잔여 바이러스가 남아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새 제품 사용 권장.

Q. EKC 후 드림렌즈 다시 맞춰야 하나요?

A. 각막 형태 변화가 생길 수 있어, 전문의의 각막곡률 검사 후 재처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EKC는 "빨리 발견하고, 철저히 격리하는 것"이 최고의 치료입니다

유행성각결막염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생활 밀착형 감염질환입니다.
특히 렌즈 착용자라면 각막 손상이라는 큰 후유증까지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증상부터 철저히 관리하고, 안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눈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운 만큼,
올 여름에는 손 위생과 렌즈 위생, 조기 대처로 눈 건강을 지키세요!

반응형